캔들 차트

시가, 종가만 표시되는 미국식 차트와 달리
고가, 저가까지 표시하는 일본식 차트가 우리한텐 익숙하다.
- 시가 : 당일 처음으로 거래된 주가
- 고가 : 당일 가장 높게 거래된 주가
- 저가 : 당일 가장 낮게 거래된 주가
- 종가 : 당일 마지막으로 거래된 주가
캔들의 종류와 의미
[내가 본 책에 있는 내용위주로 작성. 혹시나 다른 내용이 더 있으려나?]

* 장대양봉
- 시가가 저가로 시작해서 당일 고가 마감
- 특히 저점에서 발생할 경우 상승 추세로의 전환을 알리는 강력한 신호
- 신뢰도 높이기 위해서 상승세가 완만히 지속되었는지 거래량이 얼마나 증가했는지 반드시 살펴야 한다.
- 천정권보다 바닥권에서 출현해야 신뢰도가 높고 강력한 매수급소가 된다.

* 장대음봉
- 장대양봉과 반대. 시가가 최고가로 종가가 당일 저가로 마감
- 전형적인 하락신호. 고점에서 발생할 경우 본격적인 하락 추세 전환 예고
- 특히 거래량을 수반한 장대음봉은 추세전환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다고 한다.
- 1차 매도 시점
- 하락 추세에선 단기 투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고 고가권에선 하락 추세 전환점으로 단기 매도 급소

* 해머 (망치) 형
- 추세의 천정권이나 바닥권에서 발생할 경우 추세전환 신호.
- 장중 시초가 밑으로 밀리다 시초가를 뚫는 강력한 상승을 보이며 최고가로 마감.
- 아래꼬리가 몸통의 2배 이상 만들어지며 역시나 거래량이 수반되어야 신뢰도가 높아진다.
- 보통 매수신호이나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도중 나타났다면 세력들의 물량이 소량 출회했다는
해석이 가능하므로 다음날 반드시 추세를 확인해야 한다
- 주가가 하락하는 구간에서 출현한다면 선도세력이 물량을 저가에 매집하는 형태로 해석된다.
- 향후 주가를 상승시키겠다는 의지가 매우 강한 캔들로 강력한 매수 급소

* 역 해머 (역망치)
- 매수세에 의해 고가까지 상승하다 매도세에 밀려 장중 조정받은 흐름.
- 하락 추세 중에 이게 출현하면 상승추세로의 전환 신호로 해석된다.
- 반면 고가권에서 출현하면 단기 조정을 암시하므로 주의 필요하다.
- 바닥권에서 해석? 주가 하락에 따른 가격 메리트가 있는 주식이어서
매수할 생각은 있지만 이왕 비싼 가격보단 저가 부근에서만 매수하겠다는 의미
아래 교수형(행잉 맨)에 비해 신뢰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조만간 주가 상승으로 해석

* 교수형 (행잉 맨)
- 장 시작과 함께 많이 하락하다 장 마감 부근에 매수세가 집중 유입되어 상승한 흐름
- 추세 상승의 마무리 국면이라면, 하락 추세로 반전 가능성 높고
저점에서 발생한다면 상승 전환 신호로 분석
- 고가권인지 저가권인지에 따라 매도시점이나 상승 전환 신호냐로 판단 가능

* 유성형
- 하락 추세로의 전환 의미. 많이 상승한 종목에서 이런 모양이 나타나고 거래량이 증가하면 고점 징후로 판단.
- 하락 추세 중에서는 추가 하락 암시, 바닥권 매집 초기 단계에서 자주 나타나는 캔들
- 고가권에서 거래량을 수반하면 본격적인 주가 하락을 예고하므로 가격을 무시하고 무조건 팔아야 한다는 의미

* 비석형
- 추세전환 신호
- 장중 고가까지 상승 후 되밀려 시가에서 마감된 흐름. 시가=종가
- 주가의 위치에 따라 정반대로 해석되므로 세심한 주의 필요
바닥권에선 위꼬리를 보이는 캔들이 연속 출현해 최근 몇 개월
동안 저점을 이탈하지 않는다면 매집이 진행 중이라 해석될 수 있다.
고가권에서 출현 시 강력 매도, 바닥권에선 초기 매집 과정

* 잠자리형
- 장중 저가까지 하락 후 다시 상승해 시가로 마감.
- 고가권? 하락반전 신호로 해석
상승 초기? 저가에 사려는 매수세가 여전히 건재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줌
세력들이 대기 매수세의 강도를 확인하려 할 때 만들어지기 때문

* 십자형
- 장중 등락 반복하다가 결국 시가로 마무리
- 매수세 = 매도세, 추세전환 신호
- 상승추세 중 십자형의 출현은 다음 날 캔들을 확인해야 하며
하락 중에 출현했다면 상승추세로의 전환을 암시한다
* 갭
- 전일의 고가보다 금일의 시가가 높은 경우 또는 전일의 저가보다 금일의 시가가 낮은 경우
- 각 각 상승갭 / 하락갭 (매수세의 힘 / 매도세의 힘) , 갭 = 힘
- 매수세, 매도세 중 한쪽에 크게 실리면서 수급상 불균형을 나타내는 경우


'주식 투자 > 정보수집, 학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1) 개인투자자 (개미) 나무위키 학습 - 실패요인 (0) | 2024.03.13 |
---|---|
주식 시간외 거래 (0) | 2024.03.12 |
[액티브 인컴] TIGER 미국30년 국채 프리미엄 액티브 : 연 12% 분배금 추구? (0) | 2024.03.03 |
ROE의 의미 (0) | 2024.02.26 |
VIX (Volatility Index, 변동성 지수) 지금 주식시장은 위험한가? (2) | 2024.02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