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주식 투자/생각

미국, 중국, 유로존 등 세계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궁금해졌다.

반응형

투자공부하려다가 다른 길로 세는 것 같다만,

미국, 중국 그리고 유로존. 이렇게 3개 권역의 근 10년간 세계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가 궁금해졌다.

그리고 그 외 한국을 비롯한 일본, 인도 등의 경제비중도 궁금해져서 챗GPT에 물어봤다.

 

미국, 중국, 유로존, 일본, 인도, 동남아, 한국, 아프리카, 오세아니아 권역별 근 10년간 세계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변화

그리고 경제적 장단점, 향후 전망에 대해서도 추가로 조회해봤다.

 

1. 미국 (North America)

  • 세계 GDP 비중 변화 (2012~2022): 24% → 약 21%
  • 경제적 장점:
    • 세계적인 금융 시장 및 달러화의 기축 통화 지위
    • 기술 혁신과 세계 최대의 소비시장
    • 안정된 정치 및 법적 제도
  • 경제적 약점:
    • 높은 정부 부채 및 인프라 노후화 문제
    • 소득 불평등 및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우려
  • 향후 전망: 기술 및 에너지 혁신을 통한 성장 가능성은 있지만, 성장률은 신흥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.

2. 중국 (China)

  • 세계 GDP 비중 변화 (2012~2022): 11% → 약 18%
  • 경제적 장점:
    • 강력한 제조업 기반과 기술혁신, 거대한 내수시장
    • 정부의 강력한 경제 정책 지원
  • 경제적 약점:
    • 인구 고령화 및 저출산 문제
    • 부채 문제와 지속적인 성장 둔화
  • 향후 전망: 내수 확대와 기술 혁신에 중점을 두겠지만, 경제성장률은 둔화될 가능성이 있음.

-> 정말 엄청나게 성장했구먼

3. 유로존 (Eurozone)

  • 세계 GDP 비중 변화 (2012~2022): 17% → 약 14%
  • 경제적 장점:
    • 세계적인 금융 허브와 높은 생활 수준
    • 단일 통화 유로화의 영향력
  • 경제적 약점:
    • 인구 고령화와 낮은 생산성 증가율
    • 일부 국가들의 재정적 불안정
  • 향후 전망: 유로존 내 일부 국가의 경제성장은 다소 정체될 가능성이 있으며, 디지털 및 그린 에너지 전환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.

-> 신문기사를 봐도 독일, 영국 등 경제사정 안 좋아졌다는 얘기가 많이 들린다.

빅테크 기업도 그렇게 보유하고 있지도 않은 것 같던데.

세계를 선도하던 유로존이 왜 이리 하락했는지 궁금하다.

4. 일본 (Japan)

  • 세계 GDP 비중 변화 (2012~2022): 8% → 약 5%
  • 경제적 장점:
    • 기술력과 제조업, 안정적인 정치 체제
  • 경제적 약점:
    • 장기적인 디플레이션 문제, 고령화 사회
    • 낮은 경제 성장률과 높은 정부 부채
  • 향후 전망: 일본의 경제는 내수 부진과 고령화 문제로 성장이 제한적일 수 있으며, 디지털 경제와 해외 시장 개척이 중요해질 것.

-> 썩어도 준치라고. 워낙에 키워놓은 덩치가 있다보니, 아직도 동남아시아 (아세안)보다는 큰 경제비중

5. 인도 (India)

  • 세계 GDP 비중 변화 (2012~2022): 2% → 약 3.5%
  • 경제적 장점:
    • 젊은 인구와 빠르게 성장하는 서비스 산업
    • 디지털 경제와 글로벌 IT 산업 중심지
  • 경제적 약점:
    • 낮은 인프라 수준과 빈부 격차
    • 높은 실업률 및 농업 의존도
  • 향후 전망: 인도의 경제는 인구와 기술 부문에서 성장 잠재력이 크며, 향후 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.

->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의 최대 수혜자 아닐까나? 인도 펀드를 계속 놔뒀어야 했는데..

그래도 중국을 완전히 대체하기엔 내부의 문제가 많은 것 같던데..

6. 동남아시아 (ASEAN)

  • 세계 GDP 비중 변화 (2012~2022): 3% → 약 4.5%
  • 경제적 장점:
    • 높은 경제 성장률과 젊은 노동력
    •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의 빠른 성장
  • 경제적 약점:
    • 정치적 불안정성과 인프라 부족
    • 일부 국가들의 경제적 의존성
  • 향후 전망: 동남아시아 지역은 중국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,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됨.

7. 한국 (South Korea)

  • 세계 GDP 비중 변화 (2012~2022): 1.7% → 약 1.8%
  • 경제적 장점:
    • 강력한 제조업과 기술 혁신 (특히 반도체, 전자제품)
    • 안정적인 정치 체제 및 높은 교육 수준
  • 경제적 약점:
    • 인구 고령화 및 낮은 출산율
    • 높은 가계부채와 저성장률
  • 향후 전망: 반도체와 디지털 혁신 분야에서 강점을 유지하겠지만, 인구 문제로 경제 성장이 제한될 수 있음.

-> 사실 다른 나라 걱정할때가 아니다. 인도네시아한테 명목상GDP에서 밀릴것같다.

8. 아프리카 (Africa)

  • 세계 GDP 비중 변화 (2012~2022): 3% → 약 3%
  • 경제적 장점:
    • 풍부한 천연 자원과 빠르게 증가하는 인구
    • 새로운 시장으로서의 성장 잠재력
  • 경제적 약점:
    • 정치적 불안정성과 낮은 인프라 수준
    • 빈곤과 교육 수준 미흡
  • 향후 전망: 장기적으로는 인프라 개선과 정치 안정이 경제 성장의 열쇠가 될 것이며, 점차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.

9. 오세아니아 (Oceania)

  • 세계 GDP 비중 변화 (2012~2022): 1.5% → 약 1.6%
  • 경제적 장점:
    • 안정적인 정치와 자원 기반 경제
    • 높은 생활 수준과 교육 수준
  • 경제적 약점:
    • 중국 경제 의존도와 낮은 인구 증가율
    • 인프라 투자 부족
  • 향후 전망: 아시아 시장과의 경제 협력 강화가 중요하며, 자원 수출 외에도 디지털 경제 발전이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.

이 데이터는 세계은행(World Bank) 및 IMF의 최근 보고서들을 바탕으로 한 추정입니다.

향후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은 각 지역의 인구구조, 기술 혁신, 정책적 대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